티스토리 뷰
WSL 환경 구성하기
배경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거나, 시스템을 돌리는 경우 호환성 및 리소스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Docker를 돌리거나 쉘 파일을 돌려야 하는 경우 WSL 설치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버 등의 서비스는 Linux 기반의 OS에서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Github Action을 작성할 때도 bash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환경과 친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 Mac쓰면 됩니다. 그러기엔 Mac에 적응하기에 너무나 늦어버려서 저는 Windows를 씁니다.
WSL ?
WSL(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은 Windows 운영 체제 내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호환성 계층입니다. 쉽게 말해, Windows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가상 머신(VM)이나 듀얼 부팅 없이 리눅스 명령줄 도구,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예: Ubuntu, Debian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설치하기
아래 명령어를 Powershell에 입력하면 됩니다.
아래 명령어는 Ubuntu-22.04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입력되었습니다.
# wsl 설치
wsl --install Ubuntu-22.04
# wsl: 레거시 배포 등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tar 기반 배포를 대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운로드 중: Ubuntu 22.04 LTS
# Ubuntu 22.04 LTS이(가) 다운로드되었습니다.
# 배포가 설치되었습니다. 'wsl.exe -d Ubuntu 22.04 LTS'을(를) 통해 시작할 수 있습니다.
# Ubuntu 22.04 LTS 시작하는 중...
#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
# Please create a default UNIX user account. The username does not need to match your Windows username.
#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aka.ms/wslusers
# Enter new UNIX username: user1
# wsl: Failed to start the systemd user session for 'root'. See journalctl for more details.
# New password:
# Retype new password:
#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 Installation successful!
# 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user "root"), use "sudo <command>".
# See "man sudo_root" for details.
# Welcome to Ubuntu 22.04.5 LTS (GNU/Linux 6.6.87.2-microsoft-standard-WSL2 x86_64)
# * Documentation: https://help.ubuntu.com
# * Management: https://landscape.canonical.com
# * Support: https://ubuntu.com/pro
# System information as of Wed Oct 22 16:15:33 KST 2025
# System load: 0.07 Processes: 30
# Usage of /: 0.1% of 1006.85GB Users logged in: 0
# Memory usage: 1% IPv4 address for eth0: 172.31.149.119
# Swap usage: 0%
# This message is shown once a day. To disable it please create the
# /home/user1/.hushlogin file.
# 설치 가능한 Linux 배포판 조회
wsl.exe --list --online
# 다음은 설치할 수 있는 유효한 배포 목록입니다.
# 'wsl.exe --install <Distro>'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 NAME FRIENDLY NAME
# AlmaLinux-8 AlmaLinux OS 8
# AlmaLinux-9 AlmaLinux OS 9
# AlmaLinux-Kitten-10 AlmaLinux OS Kitten 10
# AlmaLinux-10 AlmaLinux OS 10
# Debian Debian GNU/Linux
# FedoraLinux-42 Fedora Linux 42
# SUSE-Linux-Enterprise-15-SP6 SUSE Linux Enterprise 15 SP6
# SUSE-Linux-Enterprise-15-SP7 SUSE Linux Enterprise 15 SP7
# Ubuntu Ubuntu
# Ubuntu-24.04 Ubuntu 24.04 LTS
# archlinux Arch Linux
# kali-linux Kali Linux Rolling
# openSUSE-Tumbleweed openSUSE Tumbleweed
# openSUSE-Leap-16.0 openSUSE Leap 16.0
# Ubuntu-20.04 Ubuntu 20.04 LTS
# Ubuntu-22.04 Ubuntu 22.04 LTS
# OracleLinux_7_9 Oracle Linux 7.9
# OracleLinux_8_10 Oracle Linux 8.10
# OracleLinux_9_5 Oracle Linux 9.5
# openSUSE-Leap-15.6 openSUSE Leap 15.6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안내가 발생하며 간단하게 어떤 기능이 있는지 설명합니다.

설정하기
WSL 관련해서 일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리소스에 관한 설정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wslconfig 파일 또는 wsl.conf 파일의 값을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GUI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더라구요. 편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파일 시스템 이해하기
WSL에서는 기본적으로 windows의 파일 시스템, linux의 파일 시스템 모두 경로로 확인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wsl을 활용하신다면, linux의 파일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 좋다고 합니다.
wsl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은 경로로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성능을 위해서 home 디렉토리 기준의 사용자 디렉토리에서 프로젝트를 만들고 작업해야겠죠!
- windows 파일 시스템 :
/mnt/c/Users/UserName/Something - linux 파일 시스템 : /home/UserName/Something
탐색기 GUI로 이해하면 아래와 같이 Linux라는 폴더가 따로 생겨있고 내부에 Ubuntu > home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들은 해당 경로에서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팁을 드리자면, 터미널에서 주로 개발하다가 탐색기와 같은 GUI로 바로 내부 내용을 확인하고 옮기는 작업을 진행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 때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작성하면 해당 경로의 파일 탐색기 창이 열립니다.
explorer.exe .
터미널 활용하기
리눅스 환경의 터미널을 Windows에서 접속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powershell에서 wsl 명령어로 진입하기
```
# 윈도우 디렉토리 기준으로 실행
wsl
pwd
# /mnt/c/Users/user1
# 사용자 디렉토리 기준으로 실행
wsl ~
pwd
# /home/user1
```
- windows terminal에서 더 보기 버튼에서 Ubuntu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에디터 사용하기
vim
리눅스 환경에는 기본적으로 vim이 깔려있습니다. 따라서 vim 명령어를 통해서 에디터를 활용하셔도 됩니다. ssh로 다른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간단하게 작업하는 경우에는 vim을 활용하고 있어요!
vscode
개발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영역에서 사용하고 계시는 인기있고 기본 에디터 중 하나로 vscode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wsl 환경에서는 windows에 vscode가 깔려있다면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입니다.
- 터미널에서 필요한 프로젝트 경로를 대상으로
code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
code .
```
- windows 환경에서 그냥 vscode를 실행하시고 좌측 하단의 초록색 원격 열기를 눌러 wsl 연결하시면 됩니다. 파일 > 폴더 열기 > linux 경로의 프로젝트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wsl 환경 설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그 외에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등은 모두 Ubuntu 기준의 명령어로 진행하셔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grep 과 같은 리눅스 명령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고, bash 스크립트도 더 이상 git bash 터미널로 이용할 필요도 없어졌습니다. 또한 Docker를 활용해 볼 수 있는 사전 단계가 완성되었네요.
다음 시간에는 Docker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보면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공유해보겠습니다.
'Dev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10301_개발공부 중 방향에 대한 고민들 (백엔드냐, 프론트엔드냐? 그리고 그외의 것) (0) | 2021.03.02 |
|---|---|
| 20210112_ Adobe XD, 프로젝트 기획,NRC (0) | 2021.01.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생활코딩
- RUBY
- nodejs
- 트위터 클론
- 바닐라js
- instagram CSS
- NomadCoder
- css
- Git
- github
- async
- React
- todolist
- TypeScirpt
- hooks
- 드림코딩
- 오버라이딩
- Django
- Class
- nrc
- html
- redux-toolkit
- 기능추가
- project
- 그림판 만들기
- Firebase
- object
- Python
- JavaScript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